월드

삼성·SK 충격! 트럼프의 '반도체 100% 관세' 선언에 업계 발칵

2025-08-07 12:06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반도체에 약 100%의 품목별 관세를 부과할 계획을 공개적으로 밝혀 관련 산업계에 파장이 예상된다. 이는 한국의 대미 수출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은 8월 6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열린 애플의 대미 시설투자 계획 발표 행사에 참석해 "우리는 반도체에 약 100%의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선언했다. 이 발언은 미국의 보호무역주의 강화 기조를 다시 한번 확인시키는 것으로, 글로벌 반도체 산업에 큰 충격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한국에게 이 소식은 더욱 심각한 의미를 갖는다. 반도체는 한국의 대미 수출 품목 중 자동차에 이어 두 번째로 규모가 큰 제품으로, 한국 경제의 중요한 수출 동력이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한국의 주요 반도체 기업들이 미국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고려할 때, 100%에 달하는 고율의 관세 부과는 한국 반도체 산업과 수출에 직접적인 타격을 줄 가능성이 크다.

 

이러한 관세 부과가 실현될 경우, 한국 반도체 기업들은 미국 시장에서의 가격 경쟁력이 크게 약화될 수 있으며, 이는 수출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 또한 글로벌 반도체 공급망에도 상당한 혼란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어 세계 경제에도 파급 효과가 예상된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발언에서 구체적인 관세 부과 시기나 적용 범위, 세부 품목 등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이에 따라 실제 정책 시행까지는 추가적인 논의와 절차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전문가들은 이번 발언이 미국의 반도체 자급률을 높이고 자국 산업을 보호하려는 의도에서 나온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미국은 최근 몇 년간 반도체 산업의 자국 내 생산 확대를 위해 다양한 정책을 추진해왔으며, 이번 관세 부과 계획도 그 연장선상에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한국 정부와 업계는 이번 발언의 실제 정책화 가능성과 그 영향을 면밀히 분석하고, 대응 방안을 마련해야 하는 상황에 놓였다. 특히 한미 간 외교 채널을 통한 협상이나 세계무역기구(WTO) 제소 등 다양한 대응책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이번 사안은 단순히 반도체 산업에 국한된 문제가 아니라 한미 무역 관계 전반과 글로벌 공급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대한 사안으로, 향후 트럼프 행정부의 구체적인 정책 방향과 시행 계획에 대한 관심이 집중될 전망이다.

 

HOT 영상